[후니] 2. 캐스트, OSI 7 Layer, 프로토콜


캐스트

캐스트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

  •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 총 3가지로 구분된다.

    • (IPv6는 유니캐스트, 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)

유니캐스트

  • 현재 네트워크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
  •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을 가지고 통신 즉, 1:1 통신

    • 이더넷의 기본 성격상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들에게 프레임을 뿌린다.
    • 프레임 안에는 출발지의 주소, 목적지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.
    •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PC 중에서 프레임이 자신의 것이 아니면(MAC 주소) 프레임을 바로 버리기 때문에 CPU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

브로드캐스트

  •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에게 전달한다.
  •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란 해당 네트워크 상에 있는 영역, 범위 등을 나타낸다.
  • 브로드캐스트는 **무조건 수신받으며, 주소는 MAC으로 FFFF.FFFF.FFFF 이다. **(IP로는 255)
  •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하는 경우는 ARP가 발생하는 경우이다.

    • 처음 PC 간 통신을 할 경우, IP주소는 알아도 MAC 주소는 모르기 때문에 ARP 과정을 거치게 된다.
  • 브로드캐스트는 CPU 자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(인터럽트 발생) 많이 사용하면 트래픽과 PC 성능에 문제가 된다.

멀티캐스트

  • 그룹에 속해있는 사람들에게만 선택적으로 한번에 보낼 수 있는 통신 방식
  • 멀티캐스트는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이 기능을 지원해주어야만 사용 가능
  • IP 주소는 클래스 D를 사용

OSI 7 Layer(레이어, 계층)

OSI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 7 Layer란 통신에 관한 국제 표준기구(ISO)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

  • 통신을 7단계별로 표준화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목적

    1. 데이터의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.
    2. 문제를 해결하기 간편하다.
    3. 7개로 나눠서 표준화를 하니까 여러 회사의 장비를 써도 네트워크에 이상이 없다.(인터페이스 개념)
  • 네트워크는 OSI 7 계층 중 1, 2, 3 계층을 의미한다.
  • 데이터 전송 시, 각 계층마다 헤더가 붙기 때문에 초기의 데이터보다 크기가 더 커진다.

계층 순서와 특징

  • 네트워크 하위 계층으로 내려 갈수록 각 층마다 헤더 정보가 붙는다.

    • 헤더정보: 각 계층별로 관리하는 관리사항들
  • 물리적 계층

    •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전송
    •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, 데이터 전달만 한다.(에러, 통신 방식 관여X)
    • 장비는 통신 케이블, 리피터, 허브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

    • 송수신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해서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활
    •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는 곳
    • 통신 단위는 프레임
    • 장비는 브리지, 스위치
  • 네트워크 계층

    •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(라우팅)
    • 장비는 라우터, Layer 3 스위치(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)
  • 전송 계층

    • 플로 컨트롤과 에러 복구 기능
    • 패킷 재전송, Flow를 조절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게 함
    • TCP, UDP 등의 통신이 여기에 해당
  • 세션 계층
  • 표현 계층
  • 애플리케이션 계층

프로토콜

프로토콜은 규약 또는 협약이라는 말이며, 컴퓨터끼리는 프로토콜이 서로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.

  •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PC가 TCP/I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.
  • IPX(Internetwork Packet eXchange) 프로토콜의 한 방식으로서, 내부 네트워크 상에 있는 PC끼리 연결하기 위함
  • 애플토크(AppleTalk)는 매킨토시끼리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

Hello, I'm@nickhealthy
개발자를 꿈꾸고, 파이썬과 클라우드에 관심이 많은 비전공자

Github